서해안·금강권 낮은 소득 내에서도 양극화…북부권, 높은 소득 불구 역외유출 고민

충남지역 내 경제적 불균형이 심각한 가운데, 권역별 특성에 맞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자료사진]

[충청헤럴드=안성원 기자] 양승조 충남지사가 수도권-지방의 불균형 등 심각한 양극화 현상을 도정 해결과제로 제시하고 있는 가운데, 충남도 안에서도 시·군별로 비슷한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도내 15개 시군의 권역별(북부권-천안·아산·당진·서산, 내륙권-홍성·예산·청양·공주·부여, 서해안권-태안·보령·서천, 금강권-논산·계룡·금산) 경제적 특성을 반영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제시됐다.

6일 충남연구원 경제산업연구실 김양종 연구위원의 ‘충남 소득과 소비행태 분석’ 연구결과에 따르면, 2016년 말 기준 수도권과 인접한 북부권 4개 시·군이 충남 전체 GRDP의 74.4%를 점유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남부지역은 인구의 감소와 산업의 더딘 성장이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북부권은 ‘소득의 역외유출’이라는 문제에 직면해 있다. 충남의 역외유출은 27.2조원으로 전국 최대규모다. 특히 피용자 보수와 영업잉여가 포함된 소득의 역외유출이 대부분(97.2%)을 차지하고 있다. 즉, 일은 충남에서 하지만 실거주지는 타지에 있어 발생하는 현상이라는 것.

실제 지역에서 생산되는 재화 중 지역에서 소비되는 비율은 급감했다. 충남지역 GRDP 중 소비의 비중은 2000년 40.1%에서 2016년 27.4%로 추락했다. 같은 기간 전국이 53.9%에서 48.7%로 감소한 것과 비교하면 훨씬 큰 폭이다.

충남도내 북부권과 나머지 권역 '경제적 격차' 심각

권역별 경제적 상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월 700만 원 이상 고소득 가구 비중은 북부권이 7.6%로 가장 높고, 내륙권(5.3%), 서해안권(5.2%), 금강권(4.4%) 순이었다. 반면 월 100만 원 미만의 극빈층은 금강권(27.9%), 서해안권(26.7%), 내륙권(23.1%), 북부권(14.6%) 순이다. 

200~500만 원 중간소득 가구비중 역시 북부권(49.7%)이 가장 높고 내륙권(40.9%), 금강권(39.0%), 서해안권(35.9%) 순으로 나타났다. 금강권의 경우 중간소득 가구비중이 다른 권역보다 낮아 상대적으로 양극단 가구비중이 높았다. 

북부권과 나머지 권역의 소득의 격차가 큰 데다, 서해안권과 금강권의 경우 저소득 가구의 비율도 높지만 중간소득 가구의 비중이 적어 저소득 지역 내에서의 양극화도 크다는 걸 알 수 있다.

또 북부권은 소득에 비해 소비가 적고 저축이 높았다. ‘월 500만 원 이상 고소득 가구’의 비중과 ‘월 500만 원 이상 고소비 가구’의 격차가 18.4%p로 가장 높았다. 많이 벌지만 조금 쓰고 있다는 뜻이다.

저축률도 북부권(70.4%), 내륙권(58.9%), 서해안권(55.5%), 금강권(51.3%) 순이었으며, 부채율에서도 북부권(40.6%)이 가장 높았다. 북부권의 부채 이유로는 ‘주택임차 및 구입(59.2%)’이 가장 많았다. ‘사업·영농자금’이 가장 많이 차지하는 서해안권(45.5%)·금강권(43.3%)과 비교된다.

충남도내 시군별 GRDP 현황. [충남연구원 제공]

북북권-주거안정, 서해안·금강권-일자리정책, 내륙권-소비인프라 제시

정리하자면, 북부권은 소득은 높지만 주거 확보를 위한 저축과 부채도 많다. 이는 정주여건이 좋은 수도권 등 타지실거주 비율을 높게 하고, 결국 소득 ‘역외유출’로 이어지고 있다.

서해안권과 금강권 등 저소득 지역은, 그 안에서도 소득의 불균형이 발생하고 있어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내륙권의 경우 중간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소비생활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내륙권 주민들이 소득수준에 비해 소비인프라는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김 연구위원은 “이번 연구의 목적은 충남의 권역별 소득과 소비행태를 살펴보고 균형발전 정책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며 “충남은 균형발전을 위해 서해안권과 금강권은 저소득 가구에서 중간 소득 가구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복지정책과 일자리정책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또 “북부권을 중심으로는 부채 감소 정책 행복주택 임대주택 등 주거정책에 보다 집중하고 내륙권과 금강권을 중심으로는 소비생활을 위한 소비문화 인프라 확대에 노력할 필요성이 있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충청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