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 규제자유특구委 '병원체자원 공용 연구시설 구축·운영' 선정
병원체 확보 수월성 높여 바이오 기업 글로벌 경쟁력 확보 기대

바이오메디칼 규제자유특구 개념도
바이오메디칼 규제자유특구 개념도

[충청헤럴드 대전=박종명 기자]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인한 감염병 백신 및 치료제에 대한 기대가 고조되는 가운데 대전이 이 같은 미션을 완수할 지역으로 선정됐다.  

6일 시에 따르면 이날 오후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3차 규제자유특구위원회에서 대전 바이오메디컬 규제자유특구 추가 실증 사업인 ‘병원체자원 공용 연구시설 구축·운영을 통한 백신·치료제 조기 상용화 실증사업’이 최종 선정됐다.

이 사업은 백신·치료제 개발 분야 바이오 스타트업의 최대 애로사항인 병원체 자원 공용 연구시설을 제공해 초기 진입 장벽을 해소하고, 진단 중심의 기존 특구사업과 연계해 신속한 감염병 진단·백신·치료제 개발까지 바이오산업 전 주기에 걸친 원스톱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사업은 내년부터 2022년까지 국비와 시비 등 모두 243억 원을 들여 ▲병원체자원 공용 연구시설의 공동 설치 운영 실증 ▲병원체자원 공용 연구시설 사용 계약 및 취급 허용을 통한 감염병 진단·치료제, 백신의 전 임상시험 실증 등을 목표로 한다. 

시는 최근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부각된 감염병에 신속 대응하기 위해 기업, 전문가들과 태스크포스팀(T/F)을 구성해 관계부처 협의, 전문가 컨설팅과 주민 공청회를 거쳐 6월 초 중소벤처기업부에 지정변경 신청서를 제출, 최종 심의에서 특구 추가사업으로 선정됐다.

앞서 시는 지난해 11월 제2차 바이오메디칼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돼 충남대·건양대·을지대병원 등 3개 대학병원과 인체유래물은행 공동 운영 및 체외 진단기기 상용화 검증 패스트 트랙 등 2건의 실증사업을 진행해왔다. 

그 동안 지역 바이오 기업들은 고위험 병원체 취급시설을 갖추진 못할 경우 병원체자원 확보가 어려워 감염병 백신 치료제 개발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시는 추가 실증사업의 경제적 효과로 기업 유치 30여개 사, 고용 창출 2300여 명, 부가가치 효과 2160여억 원에 이를 것으로 기대했다.

문창용 대전시 과학산업국장은 "이번 실증사업을 통해 기업들의 병원체 확보 수월성이 높아져 치료제 및 백신 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 대전 바이오 기업들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로 지역 혁신성장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청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