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도시 지정, 대전의료원 예타 면제 등 성과
중기부 이전 저지 실패로 당정 역량 한계 노출

[충청헤럴드 대전=박기원 기자] 올해 대전시는 코로나19 사태로 어느 해보다 숨 가쁜 1년을 보냈다.

숙원 사업인 혁신도시 지정, 대전의료원 예타 면제 결정 등 괄목할 성과도 거뒀지만 유성복합터미널 민간 공모와 중소벤처기업부 세종 이전 저지 실패 등으로 점철된 한 해로 평가되고 있다. 

 

지난 1월 15일 허태정 대전시장이 혁신도시 지정을 염원하는 시민 81만 명의 서명부를 문의상 국회의장에 전달하는 모습(사진=대전시)
지난 1월 15일 허태정 대전시장이 혁신도시 지정을 염원하는 시민 81만 명의 서명부를 문의상 국회의장에 전달하는 모습 (사진=대전시)

시는 올해 초 혁신도시 지정을 촉구하는 81만 시민 서명부를 문희상 국회의장과 김현미 국토부장관 등에 전달하며 15년 숙원사업인 대전시 혁신도시 지정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3월에는 혁신도시 지정을 염원하는 뜻이 반영돼 대전·충남 혁신도시 지정의 법적 근거인 '국가균형발전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했다.

시는 침체된 원도심을 활성화하고 지역내 동서 불균형을 해소하는 '대한민국 균형발전 혁신지구 신모델'을 만들어 나가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하지만 혁신도시라는 틀만 갖췄을 뿐 그곳에 알짜배기 기관을 담을 지는 더 큰 과제로 남았다

 

대전시가 발표한 '도시철도 2호선 트램' 노선도.(사진=대전시)
대전시가 발표한 '도시철도 2호선 트램' 노선도.(사진=대전시)

대전 도시철도 2호선 트램 건설 사업이 본궤도 기반을 마련했다.

서대전역을 출발해 정부청사, 유성온천역 사거리 등을 순환하는 36.6km의 트램 건설 사업은 지난해 1월 국가균형발전위원회로부터 예타 면제 대상 사업으로 선정됐다. 이어 7492억 원 규모의 총 사업비가 확정되고 국토부로부터 트램 건설 기본계획을 승인 받았다.

지난 22일에는 ‘도시철도 2호선 트램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에 착수해 관계 전문가들과 최적의 트램 건설 방안 등을 논의하는 등 관련 행정 절차에 본격 착수했다.

그러나 총 사업비 조정 과정에서 태미고개 1.06km구간 지하화 예산 339억 원이 제동이 걸려 사업비 확보와 사업 추진에 따른 차선 축소와 교통체증 문제를 어떻게 슬기롭게 풀어나갈지가 관건이다. 

 

대전 역세권 대전역세권 복합2구역 재개발 조감도(사진=대전시)
대전 역세권 대전역세권 복합2구역 재개발 조감도(사진=대전시)

(주)한화건설 컨소시엄이 12년을 끌어온 대전역세권 개발사업의 민간 사업자로 선정돼 원도심 활성화의 물꼬를 튼 것도 올해 거둔 성과라 할 만하다.

그러나 4차례에 걸친 민간 사업자 공모가 좌절된 유성복합터미널 건립 사업은 결국 공영 개발로 전환됐지만 사업비를 어떻게 조달할 것인가 하는 숙제를 남겼다. 

올 한 해 대전시정의 성과에도 중기부의 세종 이전이 기정사실화한 것은 뼈아른 아쉬움으로 남는다. 

지난 10월 중기부가 행안부에 이전의향서를 제출했다는 사실에 본격화하기 시작한 중기부 이전 논란은 허태정 시장과 지역구 국회의원등이 천막 농성을 불사하는 등 역랑을 총 결집했으나 결국 사수하는데 실패했다.

정세균 총리가 지난 22일 국무회의를 통해 "중기부만 대전에 있으면 유관부처간 협력이 어렵다"는 이유로 중기부 이전을 사실상 공식화하면서 '중기부 사수'라는 결기는 금새 잦아든 형국이다. 

지난달 30일 정부 세종청사 앞에서 중기부 이전 반대 집회
지난달 30일 정부 세종청사 앞에서 열린 중기부 이전 반대 집회

결론적으로 올 한해 대전시정은 숙원 사업인 혁신도시 지정, 대전의료원 등 굵직굵직한 현안을 해결하는 전기가 마련됐지만 중기부의 세종 이전으로 빛이 바랜 모양새다. 

중기부의 세종 이전의 대안으로 기상청 등 청 단위 기관의 이전이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중기부와 관련 4개 기관의 동반 이전에 버금가는 규모의 어떤 기관을 유치할지 더불어민주당 당정은 더 큰 시험대에 놓여 있다. 

 

.

관련기사

저작권자 © 충청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