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군, 백제문화고도재단 발굴 조사…성벽 변화 양상 파악
성벽 조성 시기 9세기 중반 추정
서문지의 존재 여부, 성벽 축조 공정 과정 등 확인

조사 지역 전경
조사 지역 전경

[충청헤럴드 부여=박종명 기자] 사적 제5호인 충남 부여 부소산성에서 서성벽과 서문지, 통일신라~고려에 걸쳐 거듭해서 쌓은 성벽이 확인됐다. 

1980~1990년대 국립문화재연구소와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가 벌인 발굴 조사는 동성벽과 북성벽, 남성벽을 대상으로 이뤄져 서성벽과 서문지에 대해서는 추정만 될 뿐 정확한 범위와 축성의 실태를 알 수 없었다. 

부여군과 백제문화고도재단이 벌인 이번 조사에서 서성벽의 문지와 함께 부소산 전체를 아우르는 백제 포곡식(산 정상부에서 계곡을 포용하고 내려온 능선부에 성벽을 축조한 산성) 성의 정확한 동선과 배수와 출입 관련 시설이 확인됐다.

또 부소산의 남동쪽 정상부를 중심으로 형성된 통일신라의 테뫼식(산 정상부를 둘러서 쌓은 산성) 성의 축조 방식과 시기마다 달라지는 부소산성 성벽의 변화 양상도 파악됐다.  
 
부소산성 내 백제 포곡식 성은 기본적으로 판축으로 축조되고, 이외에도 판축 외벽만을 석축하는 방식, 두 겹 이상 판축하는 방식, 내벽에 배수로를 부석하는 방식 등이 확인된 바 있다. 

이번에 조사된 서성벽 구간은 부소산성 성벽 중에 중심 토루(토성 몸체를 이루는 흙더미)가 가장 견고하고 반듯한 상태로 확인됐다. 성벽의 판축층 너비는 약 4.8~4.9m이며 현재 남아있는 성벽의 높이는 최대 4.4m 정도로 훼손된 점을 고려하면 더욱 거대했을 것으로 추정됐다. 또한, 성벽의 중심을 이루는 판축층의 내외벽은 모두 흙으로 보강하였는데, 일부는 가공한 석재를 이용, 마무리한 특이한 양상도 확인됐다. 

추정 서문지 동쪽 성벽 판축 모습
추정 서문지 동쪽 성벽 판축 모습
백제 성벽 바깥의 보강 석축
백제 성벽 바깥의 보강 석축

서문지 지점은 부소산 남록의 추정 사비 왕궁지에서 서복사지를 거쳐 성 내로 진입하는 길목에 해당한다. 이곳은 원래 골짜기를 이루는 지점으로 조사 결과 백제 성벽 판축층 위로 암거가 형성돼 있었다. 암거의 상부 구조는 남아있지 않았지만 이 주변으로 문지공석, 원형 초석, 매우 잘 치석된 대형 가공석들이 산재해 출입 목적의 구조물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백제와 통일신라 성벽이 연접한 지점에서는 백제 성벽 위로 통일신라 테뫼식 성벽이 만들어졌다. 테뫼식 성의 외벽은 기존의 백제 성벽을 쌓아 사용했지만, 내벽은 백제 성벽 위에 기단 석축을 부가해 축조했다. 성벽 시설층에서 축성 과정 중 유입된 ‘회창7년(會昌七年)’ 명문 기와가 출토, 성벽의 조성 시기는 9세기 중반 이후임을 알 수 있다. 

이번 발굴 성과로 백제 사비왕도 내에서도 핵심에 해당하는 성벽의 실체와 그 축성 기술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성과는 최근 한성기와 웅진기 왕성인 풍납토성, 몽촌토성, 공산성의 최근 발굴 성과와 함께 백제 중앙의 수준 높은 축성 기술과 문화를 파악할 수 있는 계기로 평가되고 있다.

문화재청은 올해 백제왕도핵심유적보존관리사업추진단의 협조 하에 백제 서성벽 일대에 대한 발굴조사를 벌여 서문지의 존재 여부, 성벽 축조 공정 과정과 기법을 확인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충청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