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영 한밭대 교수(문학박사.문학평론가, 시사평론가)
이대영 박사 (문학박사.문학평론가, 시사평론가)

대학총장 선거와 임명에 대한 문제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박근혜 정부 때, 공주대·광주교대·방송대·전주교대 등 4개 국립대는 총장선거 후 임용후보자를 추천했지만 교육부가 뚜렷한 이유 없이 임용 제청을 거부하여 총장 공석상황이 이어졌다.

이들 대학은 교육부가 후보자 재 추천을 요구하자 이에 반발, 후보자를 추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동안 금오공대·부산교대·목포해양대·춘천교대·한경대 등 5개 국립대는 2017년 4월부터 6월까지 전임 총장 임기가 각각 종료되고, 학교 측이 교육부에 총장임용후보자를 추천했지만 탄핵과 조기대선 등으로 절차가 중단되어 9개 국립대 총장 공석이라는 어이없는 상황이 이어졌다.

이에, 문재인 정부는 2017년 8월 ‘국립대 총장 임용제도 운영 개선방안’을 발표하며 9개 국립대를 대상으로 총장 임용 절차를 재추진 했다. 이에, 2017년 11월 6일 공주대, 방송대, 전주교대의 후보자들에 대해 적격 판정을 내린 후 각 대학에 구성원들의 의견을 수렴하도록 했다.

그 결과, 금오공대·부산교대·목포해양대·춘천교대·한경대 등 5개 국립대의 총장 공석 사태가 먼저 해결됐다.

그리고 지난 12일, 교육부는 한국방송통신대와 전주교대, 21일에는 제주대 총장을 임명했다.

그러나 방송통신대 교수협의회는 지난 14일 교육부가 한국방송통신대 총장을 직권 임용한 것에 반발했다.

공주대는 지난 12월 7일 학교 구성원 투표를 실시, 1순위 후보자의 총장 임용을 수용하지 않으며 새로운 절차를 거쳐 후보자를 추천하겠다는 의견을 교육부에 전달했다.

이에, 대학노조 등의 단체들은 교육부가 이들 대학 총장 후보자에 대해 적격 판정을 하고도 구성원의 의견을 재 수렴하는 과정에서 대학의 갈등을 조장했다고 비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비난에도 재반론의 여지는 있다. 3~4년 전에 행해진 총장선거 상황과 지금의 여건은 많이 달라져있기 때문에 재선거를 해야 한다는 논리도 설득력을 얻고 있기 때문이다.

갈등의 주된 원인은 박근혜 정부에게 있다. 민주주의 절차에 따라 대학구성원들이 선출한 총장후보자를 뚜렷한 설명 없이 장기간 임명을 보류했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피해를 본 사람은 바로 학생들이다.

올 해도 총장이 공석인 대학에서는 졸업생들이 총장 직무대리(부총장) 직인이 찍힌 졸업장을 들고 캠퍼스를 나서고 있다.

그리고 학내 갈등을 겪고 있는 캠퍼스에서 경험해야 하는 불이익도 결국 학생들의 몫이다. 대학은 학생들을 위해 존재해야 하는 곳임을 구성원들은 명심하고 총장 공석사태를 조속히 매듭지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