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27일 정상회담때 남북의 상설 협의·연락사무소를 판문점에 설치할 것을 제안할 방침으로 전해졌다.

 또 상설 회의체 성격을 지닌 남북 공동위원회를 정치·군사·경제 등 분야별로 구성·운용하는 방안을 제안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남북정상회담 개최 판문점 평화의 집 [PG=연합뉴스]
남북정상회담 개최 판문점 평화의 집 [PG=연합뉴스]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남북 정상회담 준비 상황에 밝은 복수의 소식통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우리 쪽이 ‘판문점 연락사무소’를 제안할 것”이라며 “아직 조심스럽긴 하지만, 합의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는 문 대통령이 추진 의사를 밝힌 ‘정상회담 정례화’를 포함해 이번 정상회담을 남북 당국 대화의 정례화·상시화·상설화 진전의 획기적 전기로 삼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북한의 핵및 미사일 시험발사에 따른  국제사회의 제재 강화로 회담에서는 대규모 경제협력 프로젝트의 합의가 사실상 불가능한 현실을 고려, 당국 간 회의체 정비·강화 등 ‘비제재 분야’에서 남북관계의 획기적 개선 동력을 마련하겠다는 전략적 판단에 따른 것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19일 언론사사장단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남북정상회담은 지금은 많은 제약이 있습니다. 북-미 정상회담과 무관하게 남북이 따로 진도를 낼 수도 없고, 국제 제재를 넘어서서 합의를 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다만 적어도 계속 대화할 수 있는 동력은 마련되어야 되겠다라는 것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라고 밝혔었다.​

남북정상회담이 열리는 판문점 평화의 집[사진=통일부제공]
남북정상회담이 열리는 판문점 평화의 집[사진=통일부제공]

이를 두고 유수 언론은 이 발언에는 "청와대가 꼽은 이번 정상회담의 ‘3대 의제’(한반도 비핵화, 항구적 평화 정착, 남북관계 획기적 개선) 가운데 ‘남북관계 획기적 개선’과 관련한 문 대통령의 깊은 속내와 전략이 오롯이 담겨 있다"면서 "핵심은 “적어도 계속 대화할 수 있는 동력은 마련되어야 되겠다는 문구"라고 풀이했다.

문 대통령이 제안할 ‘판문점 연락사무소’는 노태우 정부때인 1992년 남북 고위급회담에서 합의했으나 ‘직통전화 운용’ 수준으로 유명무실화한 ‘판문점 연락사무소’ 합의(남북기본합의서 1장 7조)의 복원·현실화 추구다.

아울러 노무현 정부 때인 2005년부터 개성공단 안에 설치돼 남과 북의 당국자 등이 한 건물에서 근무하며 협의하던 ‘남북경제협력협의사무소’(현 남북교류협력협의사무소)의 기능과 위상을 ‘경제’에서 ‘모든 분야’로 확대하려는 것과 같다.

현재 운용되는 판문점 연락사무소는 판문점 남쪽 ‘자유의집’과 북쪽 ‘통일각’에 따로 설치돼 직통전화 운용으로 기능이 한정돼 있으나, 이번에 추진될 연락사무소는 사실상 대표부 구실을 하는 남북 공동의 상설 협의·연락 체계 및 공간의 창출을 도모한다.

대북전략전문가들도 “원칙대로 하자면 서울-평양 상호 연락사무소(대표부) 개설이 좋지만,현재 남북관계의 수준을 고려할 때 당장 가능한 방안이 아니다”라며 “당국 간 대화 상설화의 초보적 형태로 판문점 연락사무소를 추진한다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이 제안할 ‘판문점 연락사무소’의 모습은, 현재의 ‘직통전화 운용 판문점 연락 채널’보다는 2005~2010년 개성공단에 설치돼 운영된 ‘남북경제협력협의사무소’의 확장판으로 이해하는 게 낫다. 남북경협협의사무소는 1층엔 통일부·경제부처·무역협회 등 15명 안팎의 남쪽 인원이, 2층엔 민경련 등에서 파견된 북쪽 인력 10여명이 상주하며 경협 관련 협의·연락 창구 구실을 해왔다. 70년 분단 역사에서 남과 북의 당국자들이 한 건물에서 일한 유일한 사례다. 이 사무소는 2010년 천안함 사태에 따른 이명박 정부의 5·24 대북 제재 조처에 대한 북한의 반발로 폐쇄됐다.

저작권자 © 충청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