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년 92세 9선의 3김시대의 주역.
-숙환으로 자택서 별세.
-27일 발인. 청구동자택과 공주고에서 노제

한국 정치의 큰 별이자, 충청 정치의 상징이던 김종필(JP) 전 국무총리가 23일 오전 8시13분 쯤 영면했다. 향년 92세다.

한국 근대 정치사를 이끌었다고 평가되는 이른바 ‘삼김(三金) 시대’가 김 전 총리의 별세로 이제 ‘역사’가 됐다. 김대중(DJ) 전 대통령은 2009년, 김영삼(YS) 전 대통령은 2015년 서거했다. 이어 23일 김종필 전 총리까지 별세하면서 1960년대부터 한국정치를 풍미한 이른바 '삼김 시대'가 종막됐다.

한국 정치의 큰 별이자, 충청 정치의 상징이던 김종필(JP) 전 국무총리가 23일 오전 8시13분 쯤 영면했다. 향년 92세다. [사진=KBS 뉴스켑처]
한국 정치의 큰 별이자, 충청 정치의 상징이던 김종필(JP) 전 국무총리가 23일 오전 8시13분 쯤 영면했다. 향년 92세다. [사진=KBS 뉴스켑처]

김 전 총리 측의 최측근 비서는 이날 오전 충청헤럴드와의 통화에서 "김 전 총리께서는 이날 오전 8시15분 쯤 별세하셨다"면서 "자택에서 순천향병원으로 옮겼으나, 병원에서는 도착전 운명하셨다고 했다"고 애도했다.

병원 측에 따르면 김 전 총리 가족들은 이날 오전 김 전 총리를 자택 인근 순천향병원으로 옮겼고, 김 전 총리는 병원 도착 당시 운명을 달리한 상태였다. 김 전 총리는 노환으로 별세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전 총리의 최측근 비서는 "김 전 총리께서는 한 달 전쯤부터 기력이 떨어졌지만 특별한 병환은 없었다"면서 "빈소가 차려지면 가족장으로 조촐하게 하고 조화나 조의금도 받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또 "김 전 총리게께서 살아 계실 때 국립묘지에 가지 않고 검소하게 부인 고(故) 박영옥 여사가 묻혀 있는 고향인 부여의 가족묘원에 묻어달라는 말씀도 하셨다"면서 "이미 언론 보도가 나왔으니 부고도 따로 보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23일 별세한 김종필 전 국무총리[사진= 김전 총리 웹사이트].
23일 별세한 김종필 전 국무총리[사진= 김 전 총리 웹사이트]

충청권의 한 정치인은 "제가 마지막으로 본 게 6.13 지방선거가 끝나고 보수진영이 시끄러운 때인 지난 21일 신당동 자책을 찾았는데, 기력은 없었어도 기억력은 또렸하셨다"면서 "과거에 있었던 일을 말씀드리면 오히려 저희보다 기억하는 연도나 순서가 정확했다"고 전했다.

자유한국당 정진석 의원도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기자들에게 "김종필 전 국무총리께서 오늘(23일) 아침 8시 15분 서울 중구 청구동(신당동)자책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고 처음 알렸다.

 장례는 고인의 뜻에 따라 화장으로 이뤄지며 5일장으로 치러질 예정이다. 발인은 27일로 청구동 자택에서 노제를 지낸 뒤 서초동에서 화장을 진행, 부여로 가는 동안 모교인 공주고등학교 교정에 들러 노제를 한 차례 더 지낼 것으로 보인다. 장지는 부인 박영옥 여사가 있는 충남 부여 가족묘원에 마련된다.유족으로는 아들 진씨, 딸 예리씨 1남1녀가 있다. 빈소는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에 가족장으로 차려질 예정이다.

[김종필 전 국무총리 연보]

▲ 1926년 1월 7일 충남 부여군 규암면 외리 출생

▲ 1931년 4월 충남 부여공립보통학교(초등학교) 입학

 
▲ 1940년 4월 4일 충남 공주공립중학교 입학

▲ 1944년 4월 일본 중앙대 예과 입학했으나 태평양전쟁 강제입대에 반발해 귀국

▲ 1944년 5월 대전사범학교 입학

▲ 1945년 4월 7일 충남 보령군 천북국민학교(초등학교) 교사 발령

▲ 1946년 3월 4일 서울대 사범대 교육학부 입학

▲ 1948년 6월 30일 어려워진 경제사정으로 서울대 사범대 3학년 1학기 마치고 학업 중단

▲ 1949년 1월 18일 육군사관학교 입교

▲ 1949년 5월 23일 육사 8기 졸업·소위 임관

▲ 1951년 2월 15일 박정희 전 대통령 조카딸 박영옥 여사와 결혼

▲ 1961년 5월 16일 박정희 전 대통령과 5·16 쿠데타 주도

▲ 1961년 5월 20일 초대 중앙정보부장 취임

▲ 1963년 1월 5일 육군 준장 예편·중앙정보부장 사임

▲ 1963년 2월 2일 민주공화당 창당 준비위원장 선출

▲ 1963년 2월 25일 4대 의혹 사건과 관련해 '자의반 타의반' 1차 외유

▲ 1963년 11월 26일 제6대 국회의원 선거(충남 부여)에 출마해 당선(이후 7, 8, 9, 10, 13, 14, 15, 16대 등 국회의원 9선)

▲ 1963년 12월 2일 민주공화당 의장 취임

▲ 1964년 6월 18일 6·3 사태로 인한 2차 외유

▲ 1968년 5월 30일 '국민복지회' 사건으로 정계은퇴를 선언하고 당의장·국회의원직 사퇴

▲ 1970년 12월 28일 정계은퇴 2년 7개월만에 복귀. 공화당 총재 수석상임고문에 임명

▲ 1971년 3월 18일 공화당 부총재 임명

▲ 1971년 6월 4일 국무총리 취임

▲ 1972년 12월 27일 유신헌법 공포

▲ 1974년 3월 9일 운정장학재단 창립

▲ 1975년 12월 29일 국무총리 퇴임

▲ 1976년 5월 28일 한일의원연맹 초대 회장에 선출

▲ 1977년 11월 22일 한일친선협회 한국 측 초대 회장에 선출

▲ 1979년 3월 10일 공화당 총재 상임고문에 임명

▲ 1979년 11월 12일 민주공화당 총재로 선출

▲ 1980년 6월 24일 공화당 총재 등 모든 공직에서 사퇴

▲ 1987년 9월 28일 정계복귀 선언

▲ 1987년 10월 30일 신민주공화당 창당, 총재 및 대선후보에 지명

▲ 1987년 12월 17일 제13대 대선에 출마해 낙선

▲ 1990년 1월 22일 민정·민주·공화 3당 통합 선언

▲ 1990년 2월 9일 민주자유당(민자당) 출범

▲ 1990년 5월 9일 민자당 전당대회에서 최고위원으로 선출

▲ 1992년 8월 28일 민자당 대표최고위원 선출

▲ 1995년 2월 9일 민자당 탈당 및 신당 창당 선언

▲ 1995년 5월 30일 자유민주연합(자민련) 창당, 총재 취임

▲ 1995년 5월 16일 자민련과 신민당 통합

▲ 1997년 6월 24일 자민련 제15대 대선후보 선출

▲ 1997년 10월 27일 김대중 전 대통령과 대선후보 단일화(DJP연합)에 합의

▲ 1997년 11월 21일 자민련 명예총재로 물러난 뒤 김대중 전 대통령 대선후보 선대위 의장 맡음

▲ 1998년 3월 3일 국무총리 서리 임명

▲ 1998년 8월 17일 167일만에 임명동의안이 국회를 통과해 제31대 국무총리 취임

▲ 2000년 1월 14일 국무총리 퇴임

▲ 2001년 10월 9일 자민련 전당대회에서 총재로 복귀

▲ 2004년 4월 19일 정계은퇴 선언

▲ 2007년 12월 6일 대선에 출마한 이명박 전 대통령 지원을 위해 한나라당 입당, 선대위 고문 역임

▲ 2008년 12월 14일 뇌경색으로 쓰러져 치료

▲ 2012년 2월 14일 새누리당 탈당

일 별세.23월 6년 ▲ 2018

 

저작권자 © 충청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