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7기 첫 조직개편안 발표…4급 상당 ‘개방형’ 3자리 추가
공보관·서울사무소·의회입법예산정책관 등 공모에 이목 집중

15일 취임100일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양승조 충남지사.
충남도가 민선7기 첫 조직개편안을 발표한 가운데, 개방형이 대폭 확대되면서 양 지사의 측근 합류가 본격화 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지난 15일 취임100일 기자회견 모습.

충남도가 민선7기 첫 조직개편안이 모습을 드러난 가운데, 고위직 ‘개방형’ 자리의 확대에 대한 시선이 따갑다. 앞서 양승조 지사가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암시한 ‘측근들의 도정 합류 확대’ 의지(본보 15일자 <양승조 충남지사, '측근인사 합류 확대' 시사> 보도)가 반영됐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25일 남궁영 충남도 행정부지사는 올해 연말 반영할 예정인 조직개편안을 발표했다.

가장 눈에 띄는 대목은 서기관(4급)급의 개방형 공모직이 3자리나 추가됐다는 것. 직업공무원이 임용됐던 공보관과 서울사무소장이 개방형으로 전환됐고, 도의회에 신설되는 입법예산정책담당관도 개방형이다. 이로써 기존 감사담당관을 포함해 도의 서기관급 개방형은 총 4자리가 됐다.

특히, 도지사 직속의 전문임기제인 정책보좌관과 정무보좌관까지 신설되기 때문에 총 5자리가 늘어난 셈. 정책보좌관과 정무보좌관은 정무부지사를 굳이 문화체육부지사로 변경해놓고 ‘정무기능을 보강하는 차원’에서 신설한다는 논리를 내세워 빈축을 사기도 했다. 나소열 문화체육부지사는 임명 당시 “정무적 기능이 약해지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또 5급 상당의 정무비서도 있는 상황. 사실상 문화체육부지사와 정책·정무보좌관, 정무비서 등의 업무가 중복되는 ‘비효율성’ 지적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여기에 첫 조직개편에 4급 상당의 개방형 자리가 급격히 늘게 되자 양 지사의 선거캠프 인사들의 도정합류가 본격화 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실제로 지난 15일 양 지사는 “선거캠프에서 함께 공약도 발굴하고 정치철학을 공유하는 사람들이 도정을 이끌어가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면서 “대통령도 당선된 뒤 캠프에서 오랫동안 함께 한 사람들을 같이 데리고 간다”고 말한 바 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도 이와 관련된 지적이 제기되자 남궁 부지사는 “그런(측근 고용을 위한) 건 절대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남궁 부지사는 먼저 정책보좌관과 정무보좌관에 대해 “행안부에서 2급~4급의 전문임기제 공무원 고용을 가능토록 길을 터놨다. 이를 그동안 활용치 않다가 이번에 하게 된 것”이라며 “문화체육부지사가 기존의 정무역할을 부족함 없이 하고는 있지만, 정무기능이 약화됐다는 일부의 오해가 있어 신설하게 됐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개방형 확대에 대해 “전문성을 높이고 변화에 능동적인 대응을 위한 큰 흐름”이라며 “꼭 외부 인사만 기용하는 것은 아니다. 직업공무원도 응모할 수 있기 때문에 민간과 관료가 함께 경쟁하게 된다”고 정리했다.

25일 조직개편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남궁영 행정부지사.

한편 이번 조직개편안은 기존 12실국 56과에서 12실국 59개과로 3과가 늘어나며 정원은 5,047명으로 기존보다 42명이 증가하게 된다. 

먼저 저출산‧고령화 및 양극화 해소를 위해 ‘복지보건국’을 ‘저출산보건복지실’로 확대하고, 기존 ‘저출산고령화대책과’를 ‘출산보육정책과’와 ‘노인복지과’로 분리한다. 양극화 해소를 위한 ‘양극화대책팀’이 경제정책과에 신설된다.

또 미세먼지와 지하수 문제 해결을 위해 ‘기후환경정책과’와 ‘물관리정책과’의 기능을 확대하고 재난대응 역량을 높이고자 기존 재난대응과를 ‘사회재난과’와 ‘자연재난과’로 분리한다. 

이와 함께 미래성장동력을 확보하고자 ‘에너지과’와 ‘소상공기업과’를 신설하며, 산림녹지과를 ‘산림자원과’로 기능을 조정해 ‘농림축산국’으로 이관한다. 

아울러, 일자리노동정책과를 ‘일자리노동청년과’로 개편하고 미래정책과를 폐지하고 일부기능을 이관해 ‘균형발전담당관’을 신설한다. 도로교통과는 ‘교통정책과’와 ‘도로철도항공과’로 분리한다.

이밖에 ‘혁신담당관’과 ‘생활체육대축전기획단’과 ‘백제문화단지관리사업소’ 폐지하며 자치행정과에 ‘남북교류팀’을 신설한다. 도의회 사무처는 예산분석과 예산조사기능을 강화하고 정원 외 인력으로 정책연구원(4→21명)을 보강할 수 있도록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충청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