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습교사제 시범 운영 신중하게!
교육부는 지난 2024년 8월 14일에 열린 '제40차 함께차담회'에서 수습교사제 도입 방안을 발표했다.
이 발표에서 교육부는 오는 3월부터 8월까지 대전 20명, 세종 10명, 경기 90명, 경북 20명 등 총 140명을 시범 운영을 시작할 계획을 밝혔다.
대상은 임용시험에 합격한 초등교사 임용 대기자 중 기간제 교사 등 교직 경험이 없는 인원을 신청을 받아 선발하며, 6개월 동안 멘토링, 연수, 컨설팅 등을 통해 실무 수습을 거친 후, 9월에 정식으로 임용한다는 계획이다.
그 계기는 지난 2023년 발생한 서이초 사건 사태로, 당시 거의 초임에 가까웠던 교사가 학부모 민원과 생활지도 및 학교생활의 어려움 속에 극단적 선택을 하면서 신규교사 역량교육에 대해 아쉬움도 한몫해, 교사나 교육대학 등 현장 요구가 많았던 것을 반영한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부는 1~2년 시범 운영을 한 후 법제화를 통해 전면 도입할 계획이라 한다. 수습교사의 신분, 역할, 보수, 처우 등에 대해서는 교원, 예비교원, 교육청, 교원양성기관 등과 협의체를 구성해 논의한다고 한다.
일반 기업들만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수습제도가 교육 현장에서도 시범 도입하고자 함에 교육은 일반 행정과 크게 달라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
수습교사제는 지난 1999년 이해찬 장관 재임 당시 도입이 검토됐지만, 교대와 사범대를 졸업하고 교원임용시험까지 합격했는데 정규교사가 아닌, 기간제교사로 신분이 떨어지는 수모를 겪는다는 점에서 교원임용 대기자들의 반발이 커 백지화됐었다.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라!'는 속담이 있지만 처음 도입하려는 수습교사제는 더욱 그렇다.
교육 현장과 충분히 소통하고 협력해 수습교사제가 교원 생애주기의 첫 단계에서 안정적인 교직 생활 적응을 지원하는 정책이기 때문에 치밀하게 빈틈없이 보고 또 봐야 한다.
벌써 수습교사제 시행에 관해 교육 현장에서는 "방향 바람직" vs "크게 실효성 없어"라는 온도 차가 나타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제도 자체에는 이점이 있지만, 현행 시스템상에서 수습교사제가 제대로 운용될 수 있을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법과 제도, 추가 인력, 예산 확보 등이 마련된 상황에서 전문적 식견을 가진 인력이 신규교사들을 키워나가야 하는데 현재 학교에는 그런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효율적인 시행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멘토링 프로그램, 실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기적인 연수와 교육, 다양한 현장 실습 기회 확대, 정기적인 평가와 피드백을 통해 수습교사들이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인식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아울러 교사들 간의 네트워크 형성과 경험을 공유하고 서로 배울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교사들 간의 협력과 지원을 강화하고, 마음 건강 관리를 할 수 있는 상담 서비스와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안 등 다양한 측면에서 보완해야 한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