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 “태안화력발전소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 외주화의 재앙”
정의당 충남도당이 11일 발생한 ‘태안화력발전소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사건’과 관련해 위험한 업무에 내몰리는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실태 개선을 촉구했다.
정의당에 따르면, 이날 오전 태안화력발전소 비정규직 노동자 김모씨가 컨베이어 벨트에 협착된 채 숨졌다. 김 씨는 석탄취급 설비 운전을 위탁받은 회사에 비정규직으로 채용돼 일하고 있었다.
태안화력발전소는 지난 해 11월에도 하청업체 소속 비정규직 노동자가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정비작업 중 기계에 머리가 끼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와 관련 정의당은 논평을 통해 “태안화력발전소에서는 1년을 주기로 비정규직 노동자가 두 명이나 숨졌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질까?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가장 근본적인 건 노동 현장에 만연한 ‘위험의 외주화’ 관행을 지적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미 우리당은 지난 10월 20일자 논평을 통해 가장 약한 고리에 위치한 노동자가 모든 위험을 떠안는 구조를 근본 원인으로 지적한 바 있다”며 “태안화력발전소에서 1년 주기로 벌어진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사건은 위험의 외주화라는 큰 맥락에서 바라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고용노동부는 사고가 난 태안화력 9·10호기에 대해 작업중지 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이것으로 충분치 않다. 우선 작업장 안전환경이 제대로 갖춰졌는지, 비정규직 노동자만 홀로 위험한 작업환경에 노출된 건 아니었는지 명백히 밝히고, 위반사항 발견 시 엄정하게 시정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태안화력발전소는 면피용 변명거리만 찾지 말고 책임 있는 자세로 진상규명에 성실히 나서야 할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가장 약한 고리에 있는 노동자를 죽음에 내모는 '위험의 외주화'를 신속히 타파하기 바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