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일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5당 원내대표가 첫 청와대 여·야·정 국정상설협의체에서 '탄력근로제 단위기간 확대' 방안에 합의하면서 탄력근로제가 핫이슈로 등장했다.

'탄력근로제 확대' 합의 이후 정부와 여야 정치권이 확대 시행에 팔을 걷어 붙였다. 재계의 호소를 받아 들인 것이다. 기업의 어려움을 해소해 경제 활력을 불어 넣겠다는 취지다.

이에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이 강력 반발하며 공동 대응에 나서 정면충돌하고 있다.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왼쪽 두번째)이 9일 오후 서울 중구 정동 민노총을 찾은 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오른쪽 두번째)과 만나 탄력근로제를 협의하기전에 악수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왼쪽 두번째)이 9일 오후 서울 중구 정동 민노총을 찾은 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오른쪽 두번째)과 만나 탄력근로제를 협의하기 전에 악수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그렇다면 탄력적근로제가 무엇이길래 갈등의 불씨가 됐나.

탄력근로제란 일이 많을 때 근무시간을 늘리는 대신 일이 없을 때 근무시간을 줄여 평균적으로 법정 근로시간(주 40시간)내로 맞추는 제도다. 현재 탄력근로제를 운영할 수 있는 단위기간은 최대 3개월이다. 이를 놓고 노사가 극명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

재계는 노동시간 단축에 따른 인력 운용, 인건비 부담 등을 호소하며 6개월에서 1년으로 늘려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반면 노동계에서는 단위기간이 늘어나면 노동자의 초과근무수당이 줄고 건강 악화를 초래할 수 있는데다 노동시간 단축의 본래 목적인 고용 확대도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며 반대해왔다.

휴일이던 지난 10일 오후 서울시청 인근 태평로에서 열린 전태일 열사 정신 계승 2018 전국노동자대회에서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휴일이던 지난 10일 오후 서울시청 인근 태평로에서 열린 전태일 열사 정신 계승 2018 전국노동자대회에서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노동계의 거센 반발에도 정부와 여당이 탄력근로제 확대를 밀어 붙이고 있다. 갈수록 고용지표가 악화되고 국내외 여건상 경제 상황이 개선될 기미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주 52시간제 유예기간이 올해 끝나 근로시간이 유연하게 개선되지 않으면 내년 현장 혼란에 최저임금 10.9% 인상이 더해져 기업들의 어려움이 예상된다. 

노동계 출신 홍영표 민주당 원내대표가 12일 노동계의 반대에 쓴소리를 하며 탄력근로제 확대의 선봉에 나선 것도 맥락을 같이 한다.

홍 원내대표는 대우자동차 출신으로 대우그룹 노조 사무처장을 지낸 노동 전문가다. 그는 앞서 7일 정기국회에서 탄력적근로제를 현행 최장 3개월에서 6개월로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민주노총에 대해선 “사회적 대화에 응하지 않으면서 개악이라고 반대만 하는 것은 책임 있는 경제 주체의 모습이 아니다”고 일침을 놓았다.

더불어민주당 홍영표 원내대표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홍영표 원내대표. [사진=연합뉴스]

사회적 합의가 안 된다면 국회 차원에서 논의할 수 밖에 없다며 사실상 노동계에 최후 통첩을 보냈다.

정치권에서는 여야 원내대표 회동 뒤에는 이런 내용을 담은 근로기준법 개정안을 연내 처리하겠다고 했다.

여야 정치권은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서 사회적 합의를 이뤄 달라고 요구했다.

노동계와 경영계가 극명하게 대립하고 있는 탄력근로제를 이달 말까지 논의해 합의를 만들어 내는 것은 지금으로선 어렵다. 

민주노총 김명환, 한국노총 김주영 위원장은 지난 주말인 9일 긴급 회동에서 ‘탄력근로제 확대는 개악’이라는데 인식을 같이 하고 공조 투쟁을 모색하기로 했다.

이어 민주노총은 지난 10일 서울 광화문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고 “정부와 국회가 자본가의 요구인 탄력근로제 확대를 밀어 붙이려 한다”고 비판했다.

민주노총은 21일 총파업을 예고한 상태다. 그 동안 사회적 대화를 위해 노력해 온 한국노총도 17일 노동자대회를 열어 ‘노동 개악’ 저지에 나선다고 밝히고 있다.

저작권자 © 충청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