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 금리를 연 1.25%에서 연 1.50%로 인상
-이주열 "내년 3% 내외 성장…부동산 시장 예의 주시"
-기준 금리 인상 배경은 "경기회복세 확실"

한국은행 기준 금리가 0.25%포인트 올랐다.

한은은 30일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열고 지난 2011년 6월 이래 6년 5개월 만에 기준 금리를 연 1.25%에서 연 1.50%로 인상했다.

이로써 작년 6월 이래 17개월간 이어진 사상 최저 금리 시대도 막을 내렸다.

의사봉 두드리는 이주열 총재(사진=연합뉴스)
의사봉 두드리는 이주열 총재 [사진=연합뉴스]

이주열 한은 총재가 지난 6월 통화 정책 완화 정도 조정이 필요하다며 방향 전환을 예고한 지 5개월 만으로, 최근 경기 회복세가 확실하다는 것이 그 배경이다.

이 한은 총재는 금융통화위원회를 끝낸 뒤 가진 기자회견에서 "내년에도 잠재 성장률 수준인 3% 내외 성장을 예상하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이 총재는 "반도체 경기가 좋다 보니 우려가 크긴 한데 진전 속도를 감안할 때 당분간은 반도체 경기 호조세를 조심스레 예상하고 있다"며 "정부 정책에 힘입어 소비의 회복세도 완만, 꾸준히 진전된다고 보면 내년에도 잠재 성장률 수준인 3% 내외 성장을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30일 오전 서울 중구 태평로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를 마친 뒤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날 오전 열린 금통위에서는 기준금리를 1.25%에서 1.50%로 0.25%p 인상했다.(사진=연합뉴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30일 오전 서울 중구 태평로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를 마친 뒤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날 오전 열린 금통위에서는 기준 금리를 1.25%에서 1.50%로 0.25%p 인상했다. [사진=연합뉴스]

그는 통화 정책 전달 경로에 대해서는 "대체로 원활하게 작동하고 있다고 판단한다"며 "금리 인상 기대가 높아지면서 1∼3년물 금리가 따라 움직였고 과거에도 금리를 조정하면 여수신 금리가 순차적으로 움직여 영향이 경제 전반에 파급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주택 가격 전망에 대해서는 "부동산 관련 세제, 규제, 차입 여건 등 많은 것들이 주택 가격에 영향을 준다"며 "금리 정책이 가격에 영향을 안 준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다양한 요인에 따라 주택 가격이 움직인다는 것 다시 강조한다"고 덧붙였다.

금융시장에서는 이날 지난달 금통위에서 인상 소수 의견이 나오자, 이달 금리 인상을 사실상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금리 등에 선반영한 상태다.

앞서 밝힌 것처럼 금리 인상 배경에는 최근 경기 회복세가 확실하다는 자신감이 깔려있다.

한국 경제는 수출 급증에 편승해 강한 성장세다.

한은, 6년 5개월 만에 기준금리 0.25%p 인상[그래픽=연합뉴스]
한은, 6년 5개월 만에 기준금리 0.25%p 인상 [그래픽=연합뉴스]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4%(속보치)를 기록했고 10월 이후에도 수출 증가세는 견조하다.

이를 반영하듯 IMF(국제통화기금)은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3.2%로,내년 성장률도 3.0%로 각각 올려잡았다.

잠재 성장률(연 2.8∼2.9%)을 웃도는 수준으로, 이 총재가 금리 인상 전제 조건으로 제시한 '뚜렷한 성장세'에 부합한다는 평가다.

북한 리스크와 사드 갈등에 눌려있던 소비 심리도 지난달 6년 11개월 만에 최고를 기록하는 등 개선되는 분위기다.

북한 핵·미사일 도발 등도 한은 통화 정책에 영향이 없었다.

하지만 가계 부채는 초저금리로 인해 위험 수위인 1천 400조 원을 돌파했다.

대외적으로는 다음 달로 예상되는 미국의 추가 금리 인상도 금융 불안 요인이다.

신흥국인 한국이 미국보다 금리가 낮으면 자본 이탈을 유발할 수 있다.

회의에서 한은이 금리를 동결했더라면 다음 달 양국 금리는 10년 만에 역전된다.

한국의 높은 신인도 등으로 당장 자금 이탈이 현실화되지는 않겠지만 늘 불안할 수 밖에 없다.

이제 관심은 내년에 얼마나 추가 인상될 것인지다.

금융시장에서는 1∼2회 추가 인상할 것이라는 전망이 일반적이다.

반도체 등 일부 수출 대기업 위주 성장일 뿐 경기 회복이 체감되지 않았는데 금리를 올리면 산업 경쟁력 약화와 내수 경기 타격이 우려된다는 목소리도 있다.

앞으로 경기 상황과 부동산 시장 및 가계 부채 흐름, 미 금리 인상 횟수 등이 추가 금리 인상에 주요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충청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