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은아 풀뿌리사람들 이사 "공원 정체성 모호, 시민공감 얻어야 할 것"
한밭대 박천보 교수 "동서남북 잇는 지하도와 보행육교 활용 방안 미흡"

9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대전센트럴파크 조성에 대한 기본계획 용역' 발표가 진행됐다.
9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대전센트럴파크 조성에 대한 기본계획 용역' 발표가 진행됐다.

[충청헤럴드 대전=이경민 기자] 민선 7기 대전시 역점 사업으로 추진 중인 센트럴파크 조성 사업이 여전히 정체성과 실효성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대전시는 9일 오전 시청 중회의실에서 ‘대전센트럴파크 조성 기본계획’ 최종 보고회를 가졌다. 센트럴파크 조성은 허태정 시장의 민선 7기 공약으로 이날 보고회에서는 향후 8년에 걸쳐 942억 원을 투입해 둔산동과 월평동 일원 10개의 도시공원을 연결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보고회는 도시계획, 디자인, 조경, 교통 분야 전문가 및 시민단체, 관련 실국장 등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전세종연구원의 용역 보고에 이어 전문가 토론이 진행됐다.

대전세종연구원 여민석 박사는 보고에서 "1985년 둔산 택지개발 사업 후 10자 축 형태의 정부청사 위주의 공원이 조성돼 주거 공동체 수요에 대응하지 못했다”며 “공원이 길게 늘어져 있다 보니 이용성이 떨어지고, 도로로 인해 단절된 부분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공원이 매력적으로 변했으면 한다는 요청에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친환경 생태 공원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했다”며 “연결성, 쾌적성, 안정성에 주안을 두고 사업을 추진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열린 전문가 토론에서 전북대 심준영 교수는 “둔산 이외의 지역에서 올 때 트램이나 버스 등의 이용에 있어 교통의 편의성 부분도 고려해야 한다”며 “계획상 건축적 요소가 너무 많고 공원이 노후화 됐기 때문에 새롭게 조성되는 녹지에 대해서도 시청 관련 부서에서 신경을 많이 써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밭대 도명식 교수도 “대전센트럴파크는 단순한 근린공원이 아니고 대전의 상징적인 역할을 하는 곳”이라며 “외부와 연결되는 아이디어가 빠져 마치 고급 차량이 있는데 연료를 주입할 수 있는 부분이 빠진 느낌”이라고 평가했다. 

고은아 (사)풀뿌리사람들 이사도 “애초에 시민들이 제기했던 형평성과 정체성 문제, 네이밍 등에 대한 답이 보고서에 담겨져 있지 않다”며 “네이밍에서도 토목사업 이미지가 강했는데 이는 연구 용역만 해서 결정할 수 없는 부분으로 대전시의 향후 녹지 정책에 대한 비전과 연결돼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시민들이 20~30km씩 걸을 수 있는 길 조성한다든가 걷기와 트램, 버스 등 모든 교통 수단으로 이동 가능한 도시 같은 정체성이 한 마디로 설명됐으면 좋겠다”며 “구체적인 비전이 제시되지 않으면 형평성과 정체성에 대한 문제는 해결되지 않을 것이다. 좋은 아이디어는 많지만 노후 공원 개보수하는 것으로 비춰지기만 하는데, 임의적으로 노는 공간을 활용한다는 것을 혁신으로 보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한밭대 박천보 교수는 “처음에 대전센트럴파크 조성에 대해 들었을 때 이미 공원이 있는데 뭘 또 하나 하는 생각을 했다”며 “계획을 짜면서 ‘뭐를 여기다 또 하지’라는 고민을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남북과 동서 간 연결 방법에 대해 “가장 중요한 것은 연결성이다. 과거에도 남북을 잇기 위해 지하보도를 만들었지만 한 동안 쓰지 않아 예산 낭비 비판도 많았다”며 “보수한다고 과연 야간 시간에 사람들이 찾을지 의구심이 든다. 이를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고민도 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또 “동서 구간에 보행 육교를 1.5km로 만드는데 개인적으로 ‘그걸 뭐 하러 만들까’ 생각했는데, 주민들이 많이 원했나 보다”며  “신호등 받고 건너가면 되는데 그런 게 불편했나보다. 육교가 시간이 지나 낡으면 어떻게 할지도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허태정 시장은 “공원 면적에 비해 공원 활용도와 접근성이 낮다는 것을 극복하고 시민들의 도시 지속가능성 확보하는데 의의를 두고 이사업을 시작했다”며  “첫 번째 프레임이 토목사업에 갇혀 본래의 목적과 달리 몇 천억이 드는 사업으로 프레임이 세워져 곤욕스러웠다. 이번 사업 계획 용역이 이를 상쇄할 수 있는 부분으로 가고 있어 다행”이라고 밝혔다.

이어 “568억 원 사업비 중 장기 사업비 260억을 빼면 300억 정도가 단기 사업에 투입된다”며 “코로나19로 지방 재정이 상당 부분 어려울 것이라 생각되지만. 애초 우려했던 것처럼 몇 천 억 들어가는 토목사업이 아니기 때문에 연차별로 접근하면 될 것이다. 단기 과제와 장기 과제 구분을 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충청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