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춘식 한남대 사회복지학과 명예교수

유엔(2009)은 '호모 헌드레드' 시대를 선포했다. 70세를 기대 수명으로 생애 주기를 결정했던 예전과 달리 100세를 새로운 생애 주기 기준으로 삼는다. 현재 나이에 0.7을 곱해야 한다는 말인데, 지금 60세는 예전 기준으로 하면 42세인 셈이다. 의학 기술의 발달로 40대처럼 보이는 60대도 많고, 예전 기준으로는 은퇴할 나이지만 현역에서 활동하는 사람도 우리 주위에 많다.

최근 들어 70세 노인을 신중년 그리고 80세 노인을 초로의 장년(長年)이라고 부른다. 그렇지만, 아무리 중년, 장년이면 뭣합니까? 그에 걸맞게 매력적인 포인트가 있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그야말로 멋지게 나이 들어야 한다는 뜻이다.

아직 젊다고 느끼지만, 은퇴 대열에 선 사람들에겐 '나는 누구이고 여기는 어디인가!'라는 본질적 문제가 다시 등장한다. 명함 속 직업과 직위를 자기 정체성이라 여기고 살아온 사람들은 은퇴 후 사적 영역에 돌입하면 크게 흔들리기 때문이다. 인생을 공적인 것과 사적인 삶으로 나눈다면 여성보다 은퇴 후 남성들이 더 취약해지는 것도 그런 이유다.

나이 듦이 새로운 정체성으로 살아야 한다는 뜻이라면, 젊어서부터 다양한 정체성을 오간 사람들이 훨씬 더 성숙한 노년을 맞이한다. 그러나 젊음과 활력을 강조하고 개인을 성적 주체로 호명하는 것에 익숙한 자본주의적 삶은 노년에게 꽤 불리해 보인다. 그러므로 나이 듦에 대한 새로운 태도와 해석이 필요하다.

영국 정치경제대 교수였던 캐스린 하킴(Catherine Hakim)은 매력은 잘생긴 외모를 뜻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유머 감각과 활력, 세련미, 상대를 편안하게 하는 기술 등 다른 사람의 호감을 살 수 있도록 하는 멋진 태도나 기술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런 멋진 태도나 기술은 나이가 많다고 쇠퇴하지 않는다. 오히려 더 좋아질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그것이 바로 경륜이라고 했다. 이것이 바로 나이 듦의 지혜와 여유 아니겠습니까? 한마디로 매력이 능력이고 경쟁력이라는 것이다. 매력을 무기로 성공을 이룬 사람들을 일컫는다.

그는 행복한 노후를 위한 좋은 습관을 생활화 하면 멋쟁이 노신사가 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새로운 것을 습득하도록 노력한다. 노년기에는 매사에 의욕을 잃기 쉬운데 새로운 일이나 취미활동과 봉사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 삶의 활력을 찾을 수 있다.

*활동 능력을 유지한다. 건강 상태를 늘 체크하고 규칙적으로 식사하고 노년기에 알맞은 간단한 운동을 꾸준히 한다.

*가족 구성원에게 관심을 둔다. 가족 구성원에게 애정을 갖고 무관심했던 가정의 일도 함께 분담하면 소외감은 자연스럽게 해소된다.

*신변을 깨끗하고 청결하게 유지다. 나이가 들면 대부분 노인이 자기 외모에 무관심해지기 쉬운데 깨끗함과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늘 자신을 단정하게 꾸민다.

*좋은 친구를 사귀도록 한다. 노년기에는 고독감이 병을 일으키므로 마음을 털어놓고 이야기할 수 있는 친구가 필요하다.

*자기의 자서전을 쓴다. 자신의 지나온 삶을 글로 옮기게 되면 남은 삶을 더욱 충실하게 가꿀 수 있다.

*출가한 아들이나 딸의 일에 간섭하지 않는다. 결혼시키고도 자식이 안타까워 걱정하며 자식의 일이라면 물불을 가리지 않는 부모들이 많은데 그들의 삶은 그들의 몫이라는 입장에서 마음을 비우고 자기 삶에 몰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행을 자주 한다. 여행을 자주 하면서 내면적인 성숙과 사회 변화에 적응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자기의 건강 상태를 일상의 화제에 옮기지 않는다. 건강 상태가 좋지 않다며 가족이나 친구들과 만나는 자리에서 자기의 건강 문제를 자주 화제에 올리게 되면 짜증을 내거나 만나는 것을 꺼리게 된다. 따라서 건강은 건강할 때 스스로 체크하고 지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감각이나 의식이 흐려지지 않도록 마음을 쓴다. 책을 꾸준히 읽고 사회문제에 관심을 두는 등 몸과 마음의 건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돈에 지나치게 집착하지 않는다. 나이가 들어 돈에 집착하는 것은 욕심으로 인해 마음에 병을 불러일으킨다.

*자기의 최후의 모습을 보여 주어야 한다. 어려운 일이지만 죽음을 자연스러운 삶의 한 부분으로 받아들이고 삶과 죽음이 별개가 아니라는 것을 가족과 스스로 이해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미국의 유일한 4선(16년) 대통령인 루스벨트(Roosevelt)의 부인 엘레나 여사가 남편에게 남긴 수없이 많은 명 연설문 중의 한 구절이다. "아름다운 젊음은 우연한 자연현상이겠지만 아름다운 노년은 그 누구도 빚을 수 없는 예술작품이다" 그리고 "<어제>까지는 역사 이고<내일>은 미스터리(mystery)일 뿐<오늘>은 귀중한 선물이다" 의미 있는 말이다.

독일 옛 민요에 이런 게 있다. "나는 살고 있다. 그러나 나의 목숨의 길이는 모른다. 나는 죽는다. 그러나 그것이 언제인지 모른다. 나는 가고 있다. 그러나 어디로 가는지 모른다. 그러면서도 태평 속에 있는 것이 스스로 놀랍도다."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 왜 사는지, 어떻게 살지, 무엇을 위해 살고 있는지 모르고 또 굳이 알려고 애쓰지 않는 사람도 자기 나이에 대해서는 민감하다. 나잇값을하고 있는가를 가늠하곤 한다.

"젊음이란 인생의 시간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정신 상태이다." 얼마나 오래 살았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떻게 살았느냐가 중요하고, 몇 살인가가 중요한 게 아니라 얼마만큼 나잇값을 하며 올바로 살고 곱게 늙어 가고 있느냐가 중요하지 않을까. 문제는 나잇값이다.

저작권자 © 충청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